1. 미니포지란?- conda : 패키지/가상환경 관리도구(명령어) - anaconda: conda + python + 데이터 과학관련 수백개 패키지 포함 배포판 - miniconda: conda + python만 있는 최소한의 anaconda => 기본 채널은 defaults, 상업적으로 사용시 유료- miniforge: miniconda와 같은데, 기본 채널이 conda-forge, 상업 제한 없음- defaults: Anaconda,Inc의 상업 채널, conda install 로 패키지 설치시 해당 채널에서 가져옴- conda-forege : conda 패키지를 위한 커뮤니티 채널(공개적으로 빌드, 배포, 유지보수)* 파이썬 내장 가상환경 도구 venv는 DS/AI 패키지 설치시 문제가 많아 co..
0. 클래스와 함수- 함수는 동작만- 클래스는 함수+상태 저장 가능 1. 상속 : 같은 기능인데 이름만 다름 => 중복 방지 - 예: 좋아요, 싫어요 기능class Like: def __init__(self, post, user): self.post = post self.user = user class Sad: def __init__(self, post, user): self.post = post self.user = user # 공통된 부모 클래스를 만들어줌class React: def __init__(self, type, post, user): self.type = type self.post = post ..
1. sort()- len(list) 가 N일때 : N log N 2. list의 in- 내부적으로 for문을 돈다 => worst의 경우 O(N)# 예시lst = [1, 2, 3, 4, 5]print(3 in lst)found = Falsefor item in lst: if item == 3: found = True breakprint(found) *대안 : set이나 dict의 in- 해시 테이블 기반이라 in 연산이 매우 빠르다 => O(1) 평균 3. remove - 내부적으로 for문을 돈다 => worst의 경우 O(N)def remove(x): for i in range(len(lst)): # O(N) if lst[i] == x: ..
1. 시간제한 : 보통 1초 이내- 코딩테스트에서 보통 1초에 약 1억번(10^8) 연산이 가능하다- N을 보고 O(N^2)을 써도 되는지, O(N)까지 제한되는지 감을 잡아야 한다!!입력크기 N시간제한알고리즘NO(N^2)브루트포스, 백트래킹NO(N^2)이중 반복문, DPNO(N log N)정렬, 이진탐색, 해시, 슬라이딩 윈도우NO(N)누적합, 투포인터, 해시, deque, 그리디 1) 입력크기 N O(N^2) 가능=> 완전탐색 가능! => 브루트포스, 백트래킹- O(2^n) 의 경우 2^20 = 1,048,576으로 약 백만이 되므로, 가능!- n=20일때, 20!는 2.4*10^18로 너무 커서 안됨 2) 입력 N 이중 반복문, DP- 시간복잡도: O(N^2)이면 N*N = 1000*1000 = ..
1. 컴퓨터의 실수 계산print(0.1+0.2) # 0.30000000000000004- 부동소수점 오차 => 컴퓨터는 2진수로 숫자를 저장한다.- 0.1이나 0.2는 2진수로 정확히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조금 부정확하게 됨* 부동소수점이란? 실수를 컴퓨터에서 표현하는 방식(10진수 0.1을 2진수로 완벽하게 표현할 수 없어 근사값으로 저장)- 대안: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만 보고 반올림print(round(0.1+0.2,2)) # 0.3 2. 0.5를 반올림하면 반드시 짝수가 나옴print(round(0.5)) # 0print(round(1.5)) # 2print(round(2.5)) # 2print(round(3.5)) # 4print(round(4.5)) # 4print(round(5.5)) # ..
1. 검사- str.isdigit() : 숫자인지 확인(공백, 기호, 알파벳, 소수점 등은 모두 허용하지 않음)print("1234".isdigit()) # Trueprint("1234a".isdigit()) # Falseprint("".isdigit()) # False (빈 문자열)print("1 2 3 4".isdigit()) # False (공백있으면 안됨)print("1234".isdigit()) # True (ㅈ+한자로 입력한 특수문자(유니코드 숫자)- isalpha() : 알파벳인지- isalnum(): 알파벳+숫자인지- isspace(): 공백"만" 있는지(공백 개수 상관 없음)print(' '.isspace()) # Trueprint(' '.i..
1. 점화식: 문제를 정의하는 "공식"- 예: 피보나치 수열 => F(n) = F(n-1) + F(n-2), F(1)=1, F(0)=0 1) 재귀 : 자기 자신을 호출, 간단하지만 느릴 수 있음=> 시간복잡도: 지수 시간 O(2^n), 재귀 깊이 초과 가능, (n* 재귀 깊이: Python은 타 언어에 비해 최대 재귀 호출 깊이가 작다 => sys.setrecursionlimit()을 이용해 재귀 호출 깊이 조정 가능하지만, 너무 높게 설정하면 메모리 부족이나 파이썬 인터프리터 자체가 죽을 수 있다.** 왜 제한이 있을까? 파이썬은 함수 호출마다 스택 프레임이라는 메모리 공간을 사용하는데, 재귀 호출이 너무 깊어지면 스택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수 있어 제한을 둔 것이다!def fib(n): if n..
1. open(0) : 표준 입력(stdin)2. lines = [*open(0)] : 한 줄 씩 읽어서 리스트로 저장,= input().splitlines()3.언패킹*: 공백으로 구분된 형태로 출력- print(*sorted_numbers)lines = [*open(0)]numbers = map(int, lines[1:]) # 첫 줄 제외하고 숫자만sorted_numbers = sorted(numbers)print(*sorted_numbers) 4. cmp_to_keyfrom functools import cmp_to_key# cmp_to_key 내부 원리를 단순화한 예시def cmp_to_key(mycmp): class K: def __init__(self, obj): ..
- Total
- Today
- Yesterday
- llm
- 고득점 Kit
- C언어
- 기초
- 루틴
- IH
- SQL
- 30분
- 미라클모닝
- 아침운동
- 프로그래머스
- 티스토리챌린지
- 습관
- 빅데이터 분석기사
- 실기
- 줄넘기
- 뉴스
- 경제
- 오블완
- opic
- 영어회화
- 아침
- ChatGPT
- 운동
- 스크랩
- Ai
- 갓생
- Python
- 오픽
- 다이어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