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브레이크 포인트란?- 디버깅할 때 코드의 특정 지점에서 프로그램 실행을 멈추게 하는 표시 1) 브레이크 포인트가 왜 필요할까?- 문제의 원인을 정확히 찾기 위해- 변수 값이 예상한 대로 변하는지 상태 확인- 코드가 의도한 순서대로 실행되는지 코드 흐름 이해 2) 브레이크 포인트를 잘 잡는 법- 에러 발생 직전 위치에 설정- 중요한 조건문 앞에 설정- 함수의 시작 부분에 설정 : 함수의 인자 값이나 초기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때- 변수 값이 바뀌는 부분에 설정- 에러 메시지와 관련있는 부분에 설정 3) 팁- 처음부터 너무 많은 브레이크 포인트를 걸지 말고, 문제와 관련된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설정- 브레이크 포인트를 걸고 하나씩 확인하면서 점점 좁혀나가기 4) vscode에서 브레이크포인트 설정하는 법*..

학습 내용예시[1] 입력받기: input()str = input("값을 입력해주세요")print("sol said : "+ str)입력 → Hi 출력 → sol said : Hi[2] 출력하기: print(,end="\n")* end는 생략 가능[3] 변수문법: f'문자열{변수}문자열'* \n 은 개행** 개행 제거 : print('123',end="\n")a, b = map(int, input().strip().split(' '))print(f'a = {a}\nb = {b}') 입력 →1 2 출력 → a = 1 b = 1 [4] 리스트 내 모든 요소 함수 적용(원본 변경X): map(함수, 리스트 또는 튜플)a = [1.2, 2.2, 3.2, 4.2, 5.2]a = list..
- Total
- Today
- Yesterday
- 영어회화
- 아침
- 티스토리챌린지
- 루틴
- 경제
- 갓생
- 스크랩
- 30분
- opic
- 빅데이터 분석기사
- 고득점 Kit
- 줄넘기
- 기초
- 운동
- 미라클모닝
- 다이어트
- 프로그래머스
- IH
- llm
- ChatGPT
- 오픽
- 오블완
- 습관
- 실기
- SQL
- Python
- 뉴스
- 아침운동
- C언어
- Ai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