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Json- 왜 사용할까? 웹 환경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가장 표준적인 방식이기 때문에- 키를 이용해 원하는 데이터만 빠르게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가 쉽게 오염되지 않는다 => 데이터의 구조가 명확하고 규칙이 엄격하기 때문!- 다른 포맷에 비해 용량이 조금 크다 1) JSON과 딕셔너리 변환(*s가 있으면 문자열 다루기)- JSON 문자열을 파이썬 객체(딕셔너리 등)로 : json.loads(JSON문자열)- 파이썬 객체를(딕셔너리를) JSON 문자열로: json.dumps(파이썬객체) 2) 파일 다루기- JSON 파일을 읽어 파이썬객체로(딕셔너리 등): json.load(JSON파일) => python 객체가 됨- 파이썬객체를(딕셔너리 등) JSON 파일에 쓰기: json.dump(파이썬객체를,..

1. 그래프 탐색 : 어떤것(Vertex)들이 연속해서 이어질때(Edge), 모두 확인하는 방법 2. BFS vs DFS- BFS: 자식을 먼저 봄- DFS: 자식의 자식을 먼저 봄 3. BFS 아이디어- 시작점에 연결된 vertex 찾기- 찾은 vertex를 queue에 저장 (들어온 순서대로 나감) => 넓게 퍼지며 탐색- queue의 가장 먼저 것을 뽑아서 반복- 최단거리에 BFS 쓰는 이유? BFS는 가까운 노드부터(거리1짜리 다음 거리2짜리,,,) 차례차례 탐색하기 때문에 처음 도착한 순간이 곧 최단거리가 된다.# 큐에 들어오는 순서[1,2,5,3,4,6]1 => 2랑 5 추가 => 1 제거2 => 2랑 열된 3 => 2제거5 => 5랑 연결된 4 => 5제거3 => 4는 이미 있으니까 넘어감 ..
- Total
- Today
- Yesterday
- 뉴스
- 영어회화
- 경제
- Ai
- Python
- llm
- 오블완
- 줄넘기
- ChatGPT
- 아침운동
- SQL
- C언어
- 루틴
- 다이어트
- opic
- 티스토리챌린지
- 실기
- 운동
- 빅데이터 분석기사
- 아침
- 프로그래머스
- 스크랩
- 오픽
- 미라클모닝
- 기초
- 30분
- 갓생
- IH
- 고득점 Kit
- 습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