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DNS란?- Domain Name System-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예: google.com)을 컴퓨터가 이해하는 IP 주소(예: 192.168.0.1)로 바꿔 1) nslookpup- Name Server Lookup- DNS 정보를 직접 조회할 수 있게 해주는 명령줄 도구- 역할: 특정 도메인의 IP 주소, MX 레코드, TXT 레코드 등을 확인, 네트워크 문제 진단이나 메일 서버 설정 확인 시 유용nslookup google.com142.250.207.110 입력 시 google.com으로 접속됨2) MX레코드- 도메인으로 메일을 보낼 때, 실제로 어떤 메일 서버로 보내야 할지를 알려주는 DNS 레코드- set type=mx : 메일 수신용 서버 주소nslookup> set ty..
1. 오라클- 상용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클라이언트가 sqlplus user/pass@MYDB로 접속 요청> Oracle은 tnsnames.ora에서 MYDB의 접속 정보 확인> sqlnet.ora에 따라 접속 방식, 인증 방식 결정> TNS 프로토콜을 통해 서버 연결 시도> 연결 안되면 tnsping MYDB로 TNS 레베 ㄹ확인> ping IP로 네트워크 연결 자체 확 2. TNS란?- Tansparent Network Substrate- 오라클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고유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계층- 역할: TCP/IP, Named Pipe, SDP 등 하위 물리 네트워크를 추상화- Oracle Net(구 Net8, SQL*Net) 상위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 사이에서..
1. ERP 흐름[영업 수주 (Sales)] ↓ SO (Sales Order)[생산계획 수립 (PP/MRP)] ↓ 자재소요분석 (MRP)[구매요청 (PR-Purchase requisition)] ↔ [재고 확인 (Inventory)] ↓[구매발주 (PO-Purchagse Order)] ↓[입고 처리 (GR - Goods Receipt)] ↓[생산 지시 → 생산 진행 (WIP)] ↓[완제품 입고] ↓[출고 처리 (GI-Goods Issue)] ↓[매출전표, 송장 발행 (Invoice)] ↓[회계 처리 (FI-Financial Accounting), 원가 관리 (CO-Controlling)] ↓[경영 정보 분석 (BI-Business Int..
1. BOM- Bill of Materials, 자재 명세서- 어떤 제품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부품 목록과 수량을 정리한 문서(=이 제품을 만들려면 어떤 재료가 얼마나 필요한가?)유형설명사용부서E-BOM (Engineering BOM)설계 기준의 BOMR&D (설계팀) M-BOM (Manufacturing BOM) 생산 기준의 BOM생산팀S-BOM (Sales BOM)판매/견적용 BOM영업팀P-BOM (Planning BOM)수요 예측/계획용생산기획팀 2. 전개 방식1) 정전개- 완제품에서 부품으로 전개하는 방식- 예: 스마트폰 1대를 만들기 위해 → LCD 1개, 배터리 1개, 메인보드 1개, 나사 4개 필요- 언제쓸까? 생산 계획, 자재소요계획(MRP), 작업지시 등 2)역전개- 부품 → 완제품으로 ..
1. SSL- Secure Sockets Layer- 네트워크 통신을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합니다.- 이메일, 웹(https), FTP 등에 사용-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데이터를 제3자가 볼 수 없도록 암호화- 현재는 TLS로 대체되었다 2. TLS- Transport Layer Security- SSL의 후속 버전으로, 데이터를 더 안전하게 암호화- 이메일, 웹사이트(https), VPN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 SMTP, POP3 등과 함께 사용되어 이메일 통신을 보호- STARTTLS: 기존 포트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TLS로 연결을 업그레이드 1)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이메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사용자가 메일을 보낼 때, 메일 서버 간에 이..
1. 개념 비교추상화구현 세부사항을 숨기고 필요한 기능한 보여주는 개념캡슐화데이터를 은닉하고 메서드만 외부에 노출하는 구조다형성동일한 메서드를 여러 클래스에 재정의하는 구조상속성기존 클래스를 재사용해서 새로운 클래스를 만드는 구조// 1. 추상화: Animal이라는 추상 클래스(필요한 기능만 정의)abstract class Animal { private String name; // 2. 캡슐화: private 변수 (외부에서 직접 접근 못 함) public Animal(String name) { // 생성자 this.name = name; } public String getName() { // getter 메소드만 외부에 제공 return name; ..
1. PostgreSQL의 강점- SQL 표준을 더 충실히 따른다. (MySQL은 편리하지만 축약 등 비표준 문법이 꽤 있다. ex.LIMIT)- 트랜잭션 제어(BEGIN, SAVEPOINT, ROLLBACK TO)/락/ACID 특성이 더 강력- 데이터 타입이 더 다양하고 강력하다(JSON, ARRAY 같은 특수 타입을 기본 지원)- 복잡한 처리(JOIN, 서브쿼리, 윈도우 함수 등)를 훨씬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 BSD 라이선스(기업이 커스터마이징하거나 상업화 해도 거의 제약 없음)- 확장성(PostGIS, pg_partman, TimescaleDB 등으로 GIS, 파티셔닝, 시계열데이터 추가 가능)과 플러그인 가능 2. 문법 차이구분MySQLPostgreSQL순서LIMIT 10 OFFSET 20 (=..
- Total
- Today
- Yesterday
- 영어회화
- IH
- 줄넘기
- 실기
- 운동
- 아침운동
- Python
- 경제
- 습관
- 프로그래머스
- 오픽
- Ai
- llm
- 30분
- 다이어트
- 고득점 Kit
- 빅데이터 분석기사
- 오블완
- 루틴
- 스크랩
- 갓생
- 기초
- opic
- C언어
- 티스토리챌린지
- ChatGPT
- SQL
- 미라클모닝
- 뉴스
- 아침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