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P] 용어 정리
1. BOM
- Bill of Materials, 자재 명세서
- 어떤 제품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부품 목록과 수량을 정리한 문서(=이 제품을 만들려면 어떤 재료가 얼마나 필요한가?)
유형 | 설명 | 사용부서 |
E-BOM (Engineering BOM) | 설계 기준의 BOM | R&D (설계팀) |
M-BOM (Manufacturing BOM) | 생산 기준의 BOM | 생산팀 |
S-BOM (Sales BOM) | 판매/견적용 BOM | 영업팀 |
P-BOM (Planning BOM) | 수요 예측/계획용 | 생산기획팀 |
2. 전개 방식
1) 정전개
- 완제품에서 부품으로 전개하는 방식
- 예: 스마트폰 1대를 만들기 위해 → LCD 1개, 배터리 1개, 메인보드 1개, 나사 4개 필요
- 언제쓸까? 생산 계획, 자재소요계획(MRP), 작업지시 등
2)역전개
- 부품 → 완제품으로 전개
- 특정 부품이 어떤 제품에 쓰이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식
- 예: 배터리 → 스마트폰A, 스마트폰B, 태플릿C
- 언제쓸까? 품질 이슈 발생 시 역 추적, 변경 영향도 분석, 대체품 검토 등
3) 복합전개
- 정전개 + 역전개를 동시에 수행
- 부품처의 사용처를 확인하고, 동시에 해당 제품의 하위 자재도 분석하는 방식
- 예: 이 부품이 어떤 제품에 쓰이고, 해당 제품의 전체 자재 구조는 어떻게 되는지 알 고 싶을 때
- 언제쓸까? 설계 변경, 품질 이슈, BOM 구조 전체 분석
3. 자재 용어
구분 | 설명 | 재고관리 | BOM 구성 | MRP 계산 | 계정처리 |
원자재 | 가공되지 않은 상태의 자재 | 입고 위주 | 가장 하위 | 수요 계산의 기초 | 원재료 계정 |
반제품 | 일부 공정을 거친 자재(부품 또는 모듈) | WIP (Work In Progress) |
상위 또는 하위 | 가공 기준 | 재공품 계정 |
제품 | 고객에게 판매 가능한 최종 완성품 | 출하 대상 | 가장 상위 | 수요의 목적 | 제품 계정 |
* WIP(재공품): 생산 중인 상태의 자재(공정 도중, 아직 창고에 입고되지 않음)
** 반제품: 일부 공정을 마쳐, 창고에 입고된 상태
4. MRP란?
-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자재 소요 계획
- 생산 일정에 따라 필요한 자재(원자재, 반제품)의 수량과 시점을 자동 계산해주는 시스템
- 무엇을 얼마나 언제까지 어떻게(구매/생산)를 자동으로 계산해서 구매 발주 또는 작업 지시로 이어지게 해줌
5. RDD란?
- Requested Delivery Date (요청 납기일)
- 고객 또는 내부에서 요청한 자재/제품의 납품일자